결혼 준비를 시작하게 되면 가장 당황스러운 부분이 새로운 용어들입니다.
줄임말도 있어서 혼란스러우실 거예요. 결국 결혼 준비과정에서 하나씩 알게 되긴 하지만, 파워 J인 저는 또 미리미리 알아보고 찾아보고 준비를 하는 편인데요. 저와 비슷한 분들이 계실 것 같아서 용어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미리 알고 계시면 훨씬 도움이 되긴 해서 한 번씩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신랑신부 전반적인 결혼식 용어
예랑: 예비신랑을 부르는 말.
예신: 예비신부를 부르는 말.
웨딩박람회 & 웨딩플래너
크고 작은 웨딩박람회가 많이 열리는데요.
박람회에 가면 많은 업체들을 비교해 볼 수 있고, 결혼 준비에 큰 틀을 잡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이벤트 및 할인 혜택도 많아서 좀 더 좋은 조건으로 계약하실 수도 있어요.
웨딩플래너는 결혼 준비과정에 전반적으로 도움을 줍니다.
플래너와 계약하면 스튜디오 촬영, 드레스, 메이크업, 웨딩홀 등 모든 준비의 예약, 업체를 비교할 수 있게 리스트를 보내주고, 이미지에 맞춰 추천도 해줍니다. 모르는 걸 바로바로 물어볼 수 있는 장점도 있어요.
플래너 없이 결혼 준비를 하시는 방법도 있습니다. 하지만 신랑신부님께서 많은 시간과 정성을 쏟아야 하며, 체크해야 할 일이 어마어마할 거예요.
예복: 넓은 뜻으로는 결혼식에서 정중하게 갖추어 입는 옷을 의미해요. 신랑과 신랑신부의 아버님들께서 차려입는 정장 옷을 주로 이야기하게 됩니다. 어머님들께서도 요즘 한복을 안 입으시고 예복으로 단아하고 고급스러운 원피스를 입으시는 경우도 종종 있어요.
예물: 신랑 측, 신부 측이 결혼의 약속으로 주고받는 물건을 의미합니다.
요즘은 간소화해서 신랑신부의 예물반지로 금반지, 다이아반지를 맞추는 걸로 끝내기도 합니다.
금액이나 품목이 딱히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며, 결혼반지에 더해서 명품시계, 가방, 목걸이 등을 추가로 하기도 합니다.
예단: 신부집에서 신랑집으로 예물로 보내는 비단을 의미합니다. 전통적으로는 친척분들의 이불, 수저, 젓가락 세트 등 많은 살림살이 물건들을 보냈습니다. 현재는 그렇게 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고, 예단으로 인하여 두 집안에 갈등이 생기기도 합니다. 요즘은 예단비로 신랑 측 부모님께 현금을 준비해서 드리면 그 금액의 일부를 또 신부에게 돌려주기도 합니다.
예단은 너무도 다양하게 해석하고 있기에 부모님, 신랑신부 함께 상의하여 상황에 맞게 정하시는 게 가장 좋습니다.
혼수: 신혼 살림집에 필요한 가전제품, 가구 등 집안에 필요한 물건들을 의미합니다.
혼주: 신랑신부 양가 부모님을 의미합니다. 결혼식의 주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결혼식의 주인은 신랑, 신부 같지만 사실은 부모님이십니다. 결혼식날 로비에서 하객 분들을 맞이하시는 부모님을 볼 수 있지요.
스드메, 드메, 헤메 : 스튜디오 웨딩촬영, 드레스, 헤어메이크업의 줄임말입니다.
드메는 드레스, 헤어메이크업이고, 헤메는 헤어메이크업의 줄임말입니다. 모두 많이 쓰이는 줄임말입니다.
모청: 모바일 청첩장의 줄임말입니다.
청모: 청첩장 모임을 의미합니다. 결혼식 1~2개월 전에 청첩장을 전달하기 위해 모임을 하게 됩니다.
본식, 예식: '결혼식'을 의미합니다.
신행: 결혼 후 신랑신부가 떠나는 신혼여행입니다.
준비과정에서 만나는 웨딩용어
워킹, 워크인, 워킹견적
플래너 또는 웨딩컨설턴트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스스로 조사하기 위해 업체를 방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업체를 통하면 수수료를 떼가니까 더 비싸지 않을까? 하실 수도 있는데 웨딩업계가 그렇지 않아요.
플래너, 웨딩스드메 업체 등을 통해서 계약하는 것이 더 할인 폭을 크게 받으실 수 있습니다.
웨딩베뉴, 베뉴투어: 웨딩홀, 웨딩홀 투어를 의미합니다.
대관료: 웨딩홀을 빌리는 데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합니다. 대관료에는 식대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보증인원, 최소 보증인원: 예상되는 하객수를 대략적으로 계획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50명, 200명, 250명 정도가 평균 계약하게 되는 하객수입니다. 계약하실 때 정하는 최소 보증인원이라는 것은
그 정도의 인원의 식사값은 모두 지불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므로, 너무 많지도 적지도 않게 체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00명을 예상해서 계약했는데 180명이 식사를 하셨다면 오지 않은 20명의 식사값을 더 지불하는 거라 너무 아깝겠지요.
210명으로 예상된다면 200명으로 계약을 한 후 추가로 오신 10명분의 식사값을 더 지불하면 됩니다.
동시예식: 결혼식을 진행하는 홀에서 식사를 드리는 형식입니다. 결혼식 진행 중에 식사를 하실 수 있으며, 코스 요리로 나옵니다. 동시예식은 결혼식을 2부까지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분리예식: 결혼식이 진행되는 홀과 식사 공간이 다른 것을 의미합니다. 한상차림도 있지만 주로 뷔페식이 많습니다.
단독홀: 웨딩홀에 결혼식이 진행되는 홀이 한 개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복잡하지 않아서 한 결혼식에 집중될 수 있습니다.
포토테이블: 대체로 웨딩홀 신부대기실 근처에 마련되어 있는 사진으로 꾸며진 공간입니다. 대체로 웨딩촬영 사진을 예쁜 꽃들과 함께 전시해 놓습니다.
플라워샤워: 신랑신부의 서약 및 결혼식 행사가 끝나고 행진(퇴장) 할 때 버진로드 마지막에서 꽃을 뿌려주며 사진을 찍는 것을 의미합니다.
버진로드: 하객들 한가운데 입장 및 행진하는 길을 의미합니다.
혼구용품: 결혼식 당일 필요한 하얀 장갑, 축의봉투, 펜, 방명록 등을 의미합니다. 대체로 웨딩홀에서 준비해주기도 합니다.
드레스투어, 피팅비
스튜디오 촬영 또는 결혼식에 입을 드레스 업체를 고르기 위한 드레스샵 방문을 의미합니다.
하루에 세 군데 정도를 돌아다니며 드레스를 입어보고 마음에 드는 업체를 선정합니다.
당일계약 혜택이 있어서 하루에 다 돌아다녀보고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팅비는 드레스 투어할 때마다 업체에 55,000원 정도(2025년 기준)를 지급하게 됩니다. 드레스를 입어보는 비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본식드레스, 촬영드레스
본식드레스는 결혼식 당일에 입는 드레스 1벌을 의미합니다.
촬영드레스는 스튜디오 촬영 때 드레스 3~4벌 정도를 입게 됩니다.
드레스 업체를 선정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촬영드레스와 본식드레스 모두 한 업체에서 진행하게 됩니다.
본식드레스는 실제로 결혼식 당일 실제로 눈으로 많이 보이는 드레스이기에 퀄리티가 더 좋으며, 촬영드레스는 사진에만 잘 나오면 되기에 조금 퀄리티가 떨어져 보일 수 있습니다. 디자인과 나에게 맞는 드레스 핏을 잘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봉: 신부의 드레스 및 신랑의 예복을 몸에 맞게 치수를 재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부드레스는 대략적으로 체크한 후 촬영 또는 본식에 가까워졌을 때 1~2주 전 한번 더 가봉하기도 합니다.
신랑 예복은 맞춤으로 할 경우 치수를 잰 후 제작되어 나오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3개월 전에는 가봉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튜디오, 스촬
웨딩촬영을 하는 공간을 스튜디오라고 부릅니다. 스튜디오 촬영의 줄임말이 스촬입니다.
결혼식에 장식할 사진, 모바일 청첩장에 넣을 사진이 필요하여 스튜디오 촬영을 진행하게 됩니다.
토탈스튜디오
웨딩촬영을 하는 공간인 스튜디오에서 메이크업, 헤어, 드레스를 모두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곳을 토탈샵이라고 부릅니다.
원래 헤어메이크업, 드레스샵, 스튜디오를 모두 다르게 선택할 수 있는데요.
편리한 게 최고다! 하시는 분들 시간이 없는 분들, 로망이 크게 없는 분들은 토탈샵에서 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헬퍼, 헬퍼이모님: 촬영, 본식 때에 신부 옆에 밀착하여 드레스, 메이크업, 헤어 등 흐트러지지 않게 예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리해 주고 도와주시는 분을 의미합니다.
야외 스냅, 야외 촬영
스튜디오에서 촬영하지 않고 신랑신부가 작가를 섭외하여 야외에서 촬영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제주 스냅 촬영이 인기인데요. 예쁜 숲, 바다에서 촬영을 하기에 자연스러움을 담을 수 있습니다.
본식 스냅 : 결혼식 당일 본식 스냅 작가님이 메인이 되어 주요 장면들을 촬영해 주시는 것을 의미합니다.
결혼식의 정석 사진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원판 촬영: 결혼식이 끝난 후 가족, 친지, 동료, 친구들과 함께 단체 사진을 찍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이폰 스냅: 아이폰 프로 기종들을 사용하여 작가가 친구의 시선 각도로 짧은 영상 및 사진 촬영을 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본식 스냅 작가님 동선에 피해를 주지 않고 하객의 입장에서 촬영하게 됩니다. 자연스러운 사진을 얻을 수 있고, 결혼식이 종료된 후 원본 사진을 24시간 이내에 모두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식전 영상, 식중 영상: 결혼식이 시작하기 직전 또는 중간에 하객들이 보실 수 있게 틀어주는 동영상을 의미합니다.
신랑 신부의 스토리를 담아 영상을 만들기도 하고, 스튜디오 웨딩촬영 사진을 영상으로 제작하기도 합니다.
마치며
결혼식 준비를 시작하면서 만나는 많은 용어들이 낯설지만 금방 적응되실 거예요. 결혼준비에 꼭 필요한 웨딩용어 자세한 정리본을 한번 씩만 읽어보고 시작하셔도 당황하는 일은 줄어들어서 도움 되실 겁니다.
'Wed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변 웨딩스퀘어 홀 주차장 가격 상담 후기(부모님의 하객 후기 포함) (0) | 2025.03.02 |
---|---|
서울 근교 웨딩홀 판교 W스퀘어컨벤션 투어 및 계약 후기 (0) | 2025.01.18 |